20200819 _사주명리_4강_지지_현실의 조건
천간: 하늘의 기운. 존재가 지향하고 있는 가치와 욕망. 하늘/양/남자, 명령, 생각, 추상성
강하지만 순수한 힘, 어떤 방향으로 향해가려는 동력과 기운, 인생 전반을 아우름,
인간의 궁극적 방향성과 근본적인 성향, 전체적인 경향을 유추하는 근거
지지: 현실의 조건. 존재가 겪게 되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. 땅/음/여자, 수행, 실천, 구체성
인간의 시간, 구체적인 삶, 현실적인 가치, 분명히 느껴지는 기운
지지의 구성
자축/인묘/진사/오미/신유/술해
인묘진/사오미/신유술/해자축 (절기표 참조)
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(천간/지지 연계)
인묘목/사오화/신유금/해자수/진술축미토 (오행별로 묶기)
인신사해/자오묘유/진술축미 (시작–절정–마무리, 충 예습)
인오술 사유축 신자진 해묘미 (삼합 예습)
음양 or 기운 오해할 수 있는 지지: 水, 火
土의 음양/조습/저장하고 있는 기운
진 습 수
술 조 화
축 습 금
미 조 목
지지 개요
地支 |
子 |
丑 |
寅 |
卯 |
辰 |
巳 |
午 |
未 |
申 |
酉 |
戌 |
亥 |
陰陽 |
음 |
음 |
양 |
음 |
양 |
양 |
음 |
음 |
양 |
음 |
양 |
양 |
五行 |
水 |
土 |
木 |
木 |
土 |
火 |
火 |
土 |
金 |
金 |
土 |
水 |
띠 |
쥐 |
소 |
호랑이 |
토끼 |
용 |
뱀 |
말 |
양 |
원숭이 |
닭 |
개 |
돼지 |
절기 |
대설 12.7 |
소한 1.6 |
입춘 2.4 |
경칩 3.6 |
청명 4.5 |
입하 5.6 |
망종 6.6 |
소서 7.7 |
입추 8.8 |
백로 9.8 |
한로 10.8 |
입동 11.8 |
시간 |
2330- |
0130- |
0330- |
0530- |
0730- |
0930- |
1130- |
1330- |
1530- |
1730- |
1930- |
2130- |
* 30분 차이
절기표
계절 |
절기 |
한자 |
의미 |
날짜 |
지지 (시간) |
봄(春)
木 |
입춘 |
立(설 입) 春(봄 춘) |
봄에 들어오다. 봄이 시작되다. 한 해의 첫 번째 절기. |
2.4 |
寅 (0330) |
우수 |
雨(비 우) 水(물 수) |
비가 내리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되다. |
2.18 |
||
경칩 |
驚(놀랄 경) 蟄(숨을 칩) |
겨울잠 자던 벌레들이 놀라서 땅에서 나오다. 완연한 봄. |
3.5 |
卯 (0530) |
|
춘분 |
春(봄 춘) 分(나눌 분) |
밤낮이 등분되는 봄. 낮이 길어지기 시작. |
3.20 |
||
청명 |
凊(맑을 청) 明(밝을 명) |
하늘이 맑아지고 밝아지다. 한식과 겹치거나 하루 차이 |
4.4 |
辰 (0730) |
|
곡우 |
穀(곡식 곡) 雨(비 우) |
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하다. 농사를 위한 비가 내림 |
4.20 |
||
여름(夏)
火 |
입하 |
立(설 입) 夏(여름 하) |
여름에 들어오다. 여름이 시작되다. |
5.5 |
巳 (0930) |
소만 |
小(작을 소 滿(찰 만) |
만물이 가득 차다. 본격적인 농사 시작. |
5.21 |
||
망종 |
芒(까끄라기 망) 種(씨 종) |
수염 있는 곡식(벼/보리)의 씨를 뿌리다. |
6.5 |
午 (1130) |
|
하지 |
夏(여름 하) 至(이를 지) |
여름에 이르다.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. |
6.21 |
||
소서 |
小(작을 소) 暑(더울 서) |
작은 더위. 본격적인 더위 시작. |
7.7 |
未 (1330) |
|
대서 |
大(큰 대) 暑(더위 서) |
큰 더위라는 뜻. 더위의 절정.. |
7.22 |
||
가을(秋)
金 |
입추 |
立(설 입) 秋(가을 추) |
가을에 들어오다. 가을이 시작되다. |
8.7 |
申 (1530) |
처서 |
處(곳 처) 暑(더울 서) |
더위를 처분하다. 폭염과 열대야 사라지고 일교차 커짐. |
8.23 |
||
백로 |
白(흰 백) 露(이슬 로) |
하얀 이슬. 밤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이슬이 맺힘. |
9.7 |
酉 (1730) |
|
추분 |
秋(가을 추) 分(나눌 분) |
밤낮이 등분되는 가을. 밤이 길어지기 시작. 농번기 시작. |
9.23 |
||
한로 |
寒(찰 한) 露(이슬 로) |
찬 이슬.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직전. |
10.8 |
戌 (1930) |
|
상강 |
霜(서리 상) 降(내릴 강) |
서리가 내리다. 밤 기온이 낮아져 쌀쌀해진다. |
10.23 |
||
겨울(冬)
水 |
입동 |
立(설 입) 冬(겨울 동) |
겨울에 들어오다. 겨울이 시작되다. 땅이 얼어붙는 시기. |
11.7 |
亥 (2130) |
소설 |
小(작을 소) 雪(눈 설) |
작은 눈. 첫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기 시작하다. |
11.22 |
||
대설 |
大(큰 대) 雪(눈 설) |
큰 눈. 눈이 많이 내리다. 농한기. |
12.7 |
子 (2330) |
|
동지 |
冬(겨울 동) 至(이를 지) |
겨울에 이르다.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. |
12.21 |
||
소한 |
小(작을 소) 寒(찰 한) |
작은 추위. 겨울 중 가장 추운 시기. |
1.5 |
丑 (0130) |
|
대한 |
大(큰 대) 寒(찰 한) |
큰 추위. 글자와 달리 소한 추위보다 덜함 |
1.20 |
동물 배치 – 동물과 시간
자시(2330-0130): 쥐. 음기가 한계에 이르고 양기가 시작. 야행성인 쥐가 하루 중 가장 활발한 때. 한꺼번에 10마리씩 새끼를 낳음. 부, 다산, 풍요 상징.
축시(0130-0330): 소. 되새김질을 열심히 하는 시간. 근면, 성실, 인내. 고집. 어리석고 둔함
인시(0330-0530): 호랑이. 산신령. 이 시간에 일어나서 큰 소리로 포효함. 용맹스러움으로 귀신을 물리침.
묘시(0530-0730): 토끼. 달이 사라지는 시간. 달 속에 산다고 믿었던 토끼 배정. 민첩하고 영리함. 다산과 풍요
진시(0730-0930): 용. 구름과 바람 관장. 이 시간은 용이 물을 만나는 시간. 상상의 동물. 신통한 능력.
사시(0930-1130): 뱀. 변온동물. 햇볕을 쬐면서 체온을 올려야. 뱀이 햇볕 쬐기 시작하는 시간. 사악함. 작은 용. 영생불멸. 다복. 다산.
오시(1130-1330): 말. 양기가 끝나고 음기가 시작하는 시간대. 동물 중 가장 양기가 강한 말 배정. 강인함. 고지식함.
미시(1330-1530): 양. 양이 먹고 사는 풀이 가장 활발하게 자라는 시간. 착함. 아름다움. 소심함.
신시(1530-1730): 원숭이. 원숭이가 집으로 돌아가 가족간 생사 확인을 위해 크게 우는 시간. 재주 많음. 영리함. 까불대고 신중하지 못함.
유시(1730-1930): 닭. 잠자기 위해 횃대에 올라가 앉는 시간. 붉은 벼슬이 출세 상징. 성실함. 고집 셈.
술시(1930-2130): 개. 충성스럽고 정직한 개가 어둠 속에서 도둑을 지키기 시작하는 시간.
해시(2130-2330): 돼지. 모두 잠들기 시작하는 시간인데 돼지는 이 시간에 이미 깊은 잠에 빠짐. 재산과 복. 게으름.
동물과 띠(연지)
子 근검절약. 어둡고 추운 계절. 신중. 소심하고 경계심 강함. 부지런하고 민첩함.
丑 인내력이 강하고 신의가 두텁다. 정직하고 근실함. 입이 무겁고 끈질기게 노력. 성실하게 전진하는 행동파. 뚝심.
寅 힘이 넘침. 열정과 정직. 솔직하고 낙천적. 적극적이고 과감한 도전. 모험, 명예욕.
卯 착한 천품의 이상주의자. 감수성 뛰어나고 유머러스하며 예능 계통에 재능. 게으르고 수동적.
辰 기가 세며 후퇴를 모름. 돌파력과 결단력이 강하다. 오만과 성급함, 독설 주의.
巳 비범하며 품위가 있고 용의주도함. 지력과 의지력. 방종을 경계하고 스스로 만족해야.
午 밝고 개방적이며 떠들썩한 것을 좋아함. 태양처럼 매력적이며 목표가 있으면 한눈 팔지 않음. 낭비와 유흥 주의.
未 인정 많고 생각 깊은 평화주의자. 어린아이 같은 순수한 본성. 강한 자기 주장과 전진 필요.
申 견실하거나 끈질긴 것과는 거리가 멀다. 사교적이며 감각이 뛰어남. 밝고 긍정적이며 적극적. 지속성 부족.
酉 지능과 지모가 뛰어나며 담력 있고 예견력 뛰어남. 계획적이고 꼼꼼한 일 처리. 체계적. 결단력. 자아중심적.
戌 솔직하고 명랑하며 인정이 많음. 명분 있는 일에 용감히 나섬. 고집과 반발심.
亥 정직하고 솔직하며 강인함. 사회활동과 자선사업 좋아함. 단호하게 ‘아니오’라고 말하지 못함.
지장간
참고 자료
《다르게 살고 싶다》, 박장금, 슬로비, 2019
<감이당 명리학 강의 교안>, 김주란, 2020
그 외 여러 인터넷 사이트
'lecture 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주명리_3강_천간 (0) | 2020.08.10 |
---|---|
사주명리_2강_오행 (0) | 2020.08.03 |
사주명리_1강_입문_음양 (0) | 2020.07.23 |